Korean Med Educ Rev > Volume 25(2); 2023 > Article |
|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From Birnie F, Smith F. 2002 Cohort of UK medical graduates. Oxford: UK Medical Careers Research Group, Oxford University; 2016 [15].
NHS, National Health Service.
구분 | 분석 사례 | 주요 변수 | 측정 내용/항목 |
---|---|---|---|
수행 능력 | 연구 1. Students’ personality and ratings of clinical competence in medical school clerkships: a longitudinal study / Hojat 등[19] (2004) | 성격 및 정서적 특성 | • 자기수용 및 자존감: Rosenberg self-esteem scale |
• 사회성: extraversion scale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 |||
• 정서성: neuroticism scale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 |||
• 외로움, 사회적 고립: revised version of the UCLA loneliness scale | |||
• 불안: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 |||
• 시험 불안: test anxiety scale | |||
임상 역량 | • 낮음: 6개 임상실습 과목 중 ‘high honors’ 과목이 없음 | ||
• 보통: 6개 임상실습 과목 중 ‘high honors’ 과목이 1–2개 | |||
• 높음: 6개 임상실습 과목 중 ‘high honors’ 과목이 3개 이상 | |||
연구 2. Medical school predictors of later perceived mastery of clinical work among Norwegian doctors: a cohort study with 10-year and 20-year follow-up / Belfrage 등[20] (2017) | 예측요인(predictors) | • 나이 | |
• 성별 | |||
• 성격특성: basic character inventory | |||
• 의과대학 스트레스: (Vitaliano 등이 개발하고 노르웨이 학생들에게 맞게 수정된) 지각된 의과대학 스트레스 척도 13개 문항 | |||
• 의사 역할 동일시 정도: (선행연구에서 타당화된) 의사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스스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된 4개 문항 | |||
• 의무기록 작성 술기: (선행연구에서 타당화된) 병력청취 및 의무기록 작성과 관련된 6개 문항 | |||
• 음주 습관: 위험음주 여부, 긴장 완화 목적의 음주 | |||
임상진료 숙련도 인식 | • 다음 문항 각각에 대해 동의하는 정도를 1–7점 척도로 응답하며 4개 문항의 총점으로 계산함 | ||
- I have sufficient knowledge and experience to do a good job as a physician. | |||
- I communicate without problems with patients and their next-of-kin. | |||
- I manage to establish collaboration with patients who are poor collaborators to begin with. | |||
- I experience that I master the professional aspects that my work demands of me. | |||
학생 선발 | 연구 3. Comparison of UMAT scores and GPA in prediction of performance in medical school: a national study / Poole 등[21] (2012) | 선발도구 | • 의과대학 입학시험 점수: UMAT 점수 |
• 의과대학 입학 전 학업능력: admission GPA | |||
의과대학 재학 중 학업 성취 | • 학점 평량평균(GPA) | ||
• 의사소통 술기 점수 | |||
• 종합 필기시험 점수 | |||
• 임상역량 평가, OSCE 점수 | |||
연구 4. The efficacy of medical student selection tools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 Shulruf 등[22] (2018) | 선발도구 | • 의과대학 입학시험 점수: UMAT 점수 | |
-UMAT1: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 | |||
-UMAT2: 인간에 대한 이해 | |||
-UMAT3: 비언어적 추론 | |||
• 의과대학 입학 전 학업능력 | |||
-뉴질랜드: GPA | |||
-호주: Australian Tertiary Admission Rank | |||
• 선발 인터뷰(적용 가능한 경우 분석) | |||
주요 성취 결과 | • 일정 기간 내 의과대학 졸업 여부: 최소 재학 기간에서 1년 이내에 졸업 | ||
• 임상술기 평가결과: 최종 임상술기 평가에서 첫 번째 시도에 합격 | |||
진로 | 연구 5.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medical electives on career preference for primary care and rural practice / Law & Walters [23] (2015) | 수련프로그램 선호도 | • 일차의료(primary care): general practice, public health medicine, or rural and remote medicine |
• 전문진료(specialist): all other preferences | |||
수련지역 선호도 | • 도시/중심지(urban): capital city or major urban center | ||
• 지방(rural): regional city, large town, small community, and smaller town | |||
해외 선택과정 | • 중/저소득 국가(low and middle income country)에서의 선택과정 | ||
• 고소득 국가(high income country)에서의 선택과정 | |||
연구 6. Choice and rejection of psychiatry as a career: surveys of UK medical graduates from 1974 to 2009 / Goldacre 등[24] (2013) | 희망 진로 | 졸업 후 1, 3, 5년차 시점에, | |
• 지망하는 전공과 1–3순위 | |||
• 다른 희망 진로 | |||
전공 선택요인 | 다음 각 요인이 전공 선택에 미친 영향에 대해 ‘전혀 없음’, ‘약간’, ‘많음’ 중 응답 | ||
• 국내 상황(domestic circumstances) | |||
• 근무시간/근무조건(hours/working conditions) | |||
• 경제적 전망(eventual financial prospects) | |||
• 승진/경력 전망(promotion/career prospects) | |||
• 자신의 술기/능력에 대한 자기평가(self-appraisal of own skills) | |||
• 다른 사람의 조언(advice from others) | |||
• 의과대학 재학 중 해당 과목 경험(student experience of subject) | |||
• 특정 교육자/교실(particular teacher/department) | |||
• 의과대학 입학 전 선호(inclinations before medical school) | |||
• 현재까지의 직업 경험(experience of jobs so far) | |||
• 열정/헌신: 자신이 가장 원하는 것(enthusiasm/commitment: what I really want to do) | |||
정신건강 | 연구 7. Medical students’ cognitive appraisal of stressful life events as related to personality, physical well-being, and academic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 Hojat 등[25] (2003) | 스트레스 사건 평가 | 다음 5개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해 지난 12개월간 각 요인의 발생 여부와 발생하였다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5점 척도로 응답(1=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음, 5=많은 영향을 주었음, 0=발생하지 않았음) |
• 친밀한 가족 구성원의 죽음 | |||
• 본인의 상해 및 질병 | |||
• 가족 구성원의 건강 문제 | |||
• 재정 문제 | |||
• 학업 문제 | |||
회복탄력성에 따른 집단 구분 | |||
• ‘높음’ 집단: 5점 척도에서 1, 2점 응답 | |||
• ‘중간’ 집단: 5점 척도에서 3점 응답 | |||
• ‘낮음’ 집단: 5점 척도에서 4, 5점 응답 | |||
성격 및 정서적 특성 | • 외로움, 사회적 고립: revised version of the UCLA loneliness scale | ||
• 불안: Taylor manifest anxiety scale | |||
• 시험 불안: test anxiety scale | |||
• 사회성: extraversion scale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 |||
• 정서성: neuroticism scale of the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 |||
• 자기수용 및 자존감: Rosenberg self-esteem scale | |||
• 우울: Beck depression inventory | |||
신체건강지표 | 다음 각 증상에 대해 지난 12개월간 경험한 정도를 4점 척도로 응답 (1=전혀 그렇지 않다, 4=매우 그렇다) | ||
• 스트레스의 신체 증상: 피부 발진, 요통, 알레르기, 감염질환, 잦은 감기, 신체 통증 | |||
• 불안/초조 증상: 수면 문제, 두통, 오심, 식욕 저하 | |||
• 식이/음주/흡연 문제: 과식, 음주(매일 음주), 흡연(하루 2개피 이상) | |||
• 만성질환: 만성질환이 있는지 여부,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건강 문제가 있는지 여부 | |||
학업 성취 | • 1, 2학년 학점 평량평균(GPA) | ||
• 6개 주요 임상실습(내과, 외과, 소아과, 산부인과, 정신과, 가정의학) 과목의 지필시험 평균 점수 | |||
• 의과대학 졸업 등수 | |||
• USMLE step 1, 2 점수 | |||
• 졸업 후 전공의 임상역량 평가 | |||
- 정보 수집 및 처리 역량(16문항) | |||
- 대인관계 기술 및 태도(10문항) | |||
- 사회경제적 측면에서의 환자 돌봄(7문항) | |||
연구 8. Stress, burnout and doctors’ attitudes to work are determined by personality and learning style: a twelve year longitudinal study of UK medical graduates / McManus 등[26] (2004) | 전문 수련과정 | • 일에 대한 접근 방식: abbreviated versions of the approach to work questionnaire | |
• 근무환경 인식: abbreviated versions of the workplace climate questionnaire | |||
• 스트레스: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 |||
• 소진: abbreviated vers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 |||
• 직업 만족도: 소진 척도를 바탕으로 개발한 3문항 척도 | |||
• 성격특성: abbrevia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 |||
인턴 종료 시점 | • 스트레스: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 ||
• 소진: abbreviated version of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 |||
• 성격특성: abbreviated questionnaire assessing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 |||
의과대학 입학 및 졸업 시점 | • 학습방식: abbreviated version of the study process questionnaire (surface strategic, deep learning) | ||
태도 및 인식 | 연구 9. The devil is in the third year: a longitudinal study of erosion of empathy in medical school / Hojat 등[27] (2009) | 의과대학 오리엔테이션 및 매 학년말 | • 공감능력: Jefferson Scale of Physician Empathy student version |
전공과 분류 | • ‘사람 중심(people-oriented)’ 전공: 내과, 소아과, 산부인과, 정신과, 가정의학 | ||
• ‘기술 중심(technology-oriented)’ 전공: 외과, 정형외과, 마취과, 병리과, 영상의학과 등 | |||
연구 10. Intercalated degrees, learning styles, and career preferences: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UK medical students / McManus 등[28] (1999) | 의과대학 입학 시점 | • 학습방식: abbreviated version of the study process questionnaire (surface strategic, deep learning) | |
• 진로 선호도: 27개의 전공분야에 대한 선호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1=이 분야를 선택할 의사가 전혀 없음, 5=이 분야를 선택할 의사가 확실함) | |||
의과대학 졸업 시점 | • 학습방식: abbreviated version of the study process questionnaire (surface strategic, deep learning) | ||
• 진로 선호도: 27개의 전공분야에 대한 선호도를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1=이 분야를 선택할 의사가 전혀 없음, 5=이 분야를 선택할 의사가 확실함) | |||
• 학업 성취: 전체 등급 평균, A등급 개수 | |||
• 복수 학사학위 진행 여부 |
Hanna Jung
https://orcid.org/0000-0001-5051-3953
Hae Won Kim
https://orcid.org/0000-0002-9321-8361
I Re Lee
https://orcid.org/0000-0002-6272-929X
Shinki An
https://orcid.org/0000-0002-9822-7961
Cognitive Constructivism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2024 January;26(Suppl1)
Application of Social Constructivism in Medical Education2024 January;26(Suppl1)
Application of Social Constructivism in Medical Education2020 June;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