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병력청추 1, 정신상태검사, 신체검사 |
지식 |
1.1. 환자에게 발견되는 정신과적 징후와 증상을 설명할 수 있다. |
|
|
1.2. 다양한 출처로부터 병력을 청취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
|
1.3. 정신의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정신상태검사의 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
|
|
1.4. 정신장애를 수반하는 신체증상과 징후를 설명할 수 있다. |
|
|
1.5. 다양한 정신의학적 문제의 현상학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
|
1.6. 인지와 정서의 발달단계가 정신건강문제의 원인, 발현,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1.7. 다음을 포함하여, 완전한 임상 병력청취를 이끌어낼 수 있대주요 문제를 알아낼 수 있는 정신의학적 병력, 정신의학적 과거력, 약물 복용력, 일반적인 의학적 병력, 계통적 고찰, 물질남용 병력, 법의학 병력, 가족력, 개인력, 사회력, 발달력 등). |
|
|
1.8. 환자의 언어적, 신체적, 감각적 결함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
|
|
1.9. 정신의학적 문제의 의미를 이해하고, 환자로부터 삶의 경험에 대한 서술을 이끌어내며 사실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
|
|
1.10. 신뢰할 수 있는 적절한 병력청취를 수행할 수 있다. 가족이나 환자가 포함하여 사회집단의 구성원과 같은 다양한 출처로부터 병력을 청취할 수 있고, 지역사회 정신건강 자원과 과거의 기록에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
|
|
1.11. 정신상태검사의 구성요소를 이끌어내고 기록할 수 있다. |
|
|
1.12. 구체적이고 명료한 증례발표를 할 수 있다. |
|
|
1.13. 일반 의학적 질병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
|
|
1.14. 신체검진을 할 때 향정신약물의 영향을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다. |
|
태도 |
1.15. 환자에게 공감을 할 수 있다. |
|
|
1.16. 환자의 품위와 비밀을 존중할 수 있다. |
|
|
1.17. 문화적 배경과 차이를 인정할 수 있다. |
|
|
1.18. 치료의 과정에 가족구성원을 적절하게 포함시킬 수 있다. |
|
|
1.19. 다른 정신보건 전문가들과 협력하는 것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2. 진단, 사례개념화 |
지식 |
2.1. 정신병적 장애, 양극성 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장애, 수면장애,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 섭식장애, 성격장애, 신경인지장애, 신경발달장애 등의 정신질환과 자문조정 정신의학 환자의 증상과 징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
2.2.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과 ᅵC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진단체계에 능숙하고 각각의 장점과 한계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
2.3. 정신질환의 발생과 경과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생물학적, 정신심리학적, 사회적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2.4. 진단체계를 사용해 일반적인 정신과적 문제들에 대한 감별진단을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다. |
|
|
2.5. 연령대에 걸쳐 발생하는 증후군이나 질환의 특정 증상을 진단체계를 사용해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
|
|
2.6. 감별진단을 논의하고 사례 개념화에 적용할 수 있다. |
|
|
2.7. 다양한 출처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통협하여 문제의 발생요인, 측진요인, 지속요인, 보호요인이 강조된 사례개념화 를 구성할 수 있다. |
2. 진단, 사례개념화 |
태도 |
2.8. 진단체계의 장점과 한계를 인식할 수 있다. |
|
|
2.9. 환자와 환자의 가족에게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 치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3. 임상계획 검사, 치료, 기록 |
지식 |
3.1. 정신의학 영역에서 사용되는 핵심적인 검사의 적응증을 설명할 수 있다. |
|
|
3.2. 임상병리검사, 뇌 영상검사, 뇌파검사, 임상심리검사, 신경심리검사를 포함한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검사과정의 장점과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
|
|
3.3. 단기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정신분석치료, 지지치료, 그룹치료 등 다양한 형태의 정신치료와 생물학적 치료의 이론적 근거를 설명할 수 있다. |
|
|
3.4. 약물의 작용, 임상 적응증, 부작용, 상호작용, 독성, 적절한 처방, 비용효과 등의 내용을 포함한 정신약물치료와 |
|
|
전기경련치료, 광치료 등 다양한 생물학적 치료의 이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
3.5. 환자-의사 관계와 이러한 치료관계가 질환과 치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
|
3.6.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동반될 수 있는 내과적 질환이 임상적으로 정신과적 치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설명할 수 있다. |
|
|
3.7. 의무기록과 감정보고서의 구성, 기능, 법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
|
|
3.8. 환자의 비밀보장과 관련된 최근 규정에 대한 지식을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3.9. 각각의 환자에 맞는 개별화된 평가와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
3.10. 임상병리검사, 뇌영상검사, 뇌파검사 등의 검사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
|
|
3.11. 임상심리검사, 신경심리 검사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
|
|
3.12. 검사결과를 적절하게 응용하기 위해 다양한 동료 전문가들과 검사결과를 논의하고 협진할 수 있다. |
|
|
3.13. 일반적인 문제를 가진 각각의 환자에게 적합한 평가를 시행하고, 현실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
3.14. 환자, 환자의 보호자, 다른 영역의 전문가에게 정신의학적, 심리학적 사안들을 교육할 수 있다. |
|
|
3.15. 효과, 적응증, 부작용, 상호작용, 독성, 비용효과 등을 고려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적절한 수준의 약물학적 치료와 전기경련치료, 광치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학적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
|
|
3.16. 환자의 임상적 경과를 관찰하고, 진단을 다시 평가하며, 적절한 치료를 위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
|
|
3.17. 과거력, 신체검진, 검사, 감별진단, 위험평가, 치료계획에 관하여 비밀보장을 유지하며 간결하고 명확하게 읽기 쉽도록 기록할 수 있다. |
|
태도 |
3.18. 평가, 검사, 치료과정과 결과에 대해 환자와 환자의 가족, 보호자, 동료에게 설명할 수 있다. |
|
|
3.19. 환자와 환자의 증상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그러한 관점에서 적절하게 다룰 수 있다. |
|
|
3.20. 치료와 치료의 부작용에 대해 명확하고 솔직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
|
|
3.21. 환자의 자율권과 비밀유지의 권리에 대해 존중의 태도를 보일 수 있다. |
|
|
3.22. 주거, 고용, 직업적 기회, 여가활동, 사회적 관계, 복지혜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적절한 보호와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
|
|
3.23. 사례 관련 기록과 모든 임상정보의 기술을 적절한 시점에 합리적인 양식으로 완료할 수 있다. |
|
|
3.24. 다양한 기관과 효율적인 업무협력을 할 수 있다. |
4. 정신치료 |
지식 |
4.1. 최신의 정신치료 지식과 이론을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4.2. 환자와 치료적 동맹을 형성할 수 있다. |
|
|
4.3. 적절한 지도하에 환자의 행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정신치료를 시작하고 지속할 수 있다. |
|
|
4.4. 최소 두 개 이상의 치료방법으로 장기, 단기 정신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
|
태도 |
4.5. 정신치료 상황에서 적절한 태도를 유지할 수 있다. |
5. 응급/재난 정신의학 |
지식 |
5.1. 자해, 자살, 폭력, 물질 중독 및 금단, 급성 정신병, 외상, 재난 등 정신의학적 응급상황의 위험평가와 관리에 관한 지식을 설명할 수 있다. |
|
|
5.2. 정신의학적 응급상황에서 환자와 보호자를 이해하고 그들과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
|
|
5.3. 소아 청소년 및 취약계층에 대한 학대, 방임과 관련 있는 위험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
|
5.4. 환자의 폭력, 자해, 자살 등과 관련된 관리 및 예방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
|
|
5.5. 정신의학적 응급상황에 적용되는 관련 법률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5.1.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정신상태검사 및 면담을 수행할 수 있다. |
|
|
5.2. 자신이나 타인에게 잠재적 위험성이 있는 환자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
|
|
5.3. 응급 상황에서 어떤 정보가 우선적으로 중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
|
|
5.4. 현재 또는 장기간의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
|
|
5.5. 안전하고 효과적인 위험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
5.6. 소아 청소년 및 취약계층에 대한 학대, 방임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후를 발견할 수 있다. |
|
|
5.7. 취약한 환자를 위한 보호절차와 실행방안에 대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다. |
|
|
5.8. 고위험 상황관리를 위하여 위험평가를 지속하며 사용 가능한 모든 정신건강서비스 자원 전체를 활용할 수 있다. |
|
|
5.9. 사건발생 상황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부수적 계획, 위기관리와 단계적 완화 기법(de-escalation technique) 등의 적절 관리법을 수립할 수 있다. |
|
|
5.10. 약물의 응급 사용, 빠른 진정, 결박과 격리 적용을 적절하게 시행할 수 있다. |
5. 응급/재난 정신의학 |
태도 |
5.11. 응급상황에서 정신의학 전문가로서 윤리적인 실행규범을 유지할 수 있다. |
|
|
5.12.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응급상황에서도 업무를 적절하게 수행하며 전문가적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다. |
6. 정신신체 /자문조정 정신의학 |
지식 |
6.1. 다양한 내과적, 외과적 질환과 관련된 정신신체의학적 요인과 개입의 의미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
6.2. 통증, 뇌전증, 이상운동장애를 비롯한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증상과 징후, 핵심적인 검사의 적응증을 설명할 수 있다. |
|
|
6.3. 신체질환으로 인한 성격적 변화를 포함한 심리적 부적응을 이해하고 신체질환에서 흔히 동반되는 정신장애의 즈ᄉ卜과 지ᄒ르 서며ᄒ卜 人 이다 o o”H o 丁균 So 뜨 丁 aaH ■ |
|
|
6.4. 암환자의 정신의학적 문제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
|
6.5. 정신신체의학에서 사용하는 약물치료, 기타 생물학적 치료의 이론적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
|
6.6. 자문조정정신의학의 기본원칙과 법적, 윤리적 문제를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6.7. 내과적, 외과적 질환 및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병력청추ᅵ, 신체검사, 신경학적 검사, 정신상태검사를 시행하고 정신신체의학적 감별진단 구성, 검사적용 및 치료계획 수립을 시행할 수 있다. |
|
|
6.8. 의사소통이 제한된 환자를 포함해 내과적, 외과적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적절한 정신의학적 평가를 시행할 수 있다. |
|
|
6.9. 내과적, 외과적 환자의 상황과 질환의 특성을 정신의학적 치료와 통합할 수 있다. |
|
|
6.10. 환자의 신체질환과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정신약물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
|
|
6.11. 환자의 신체질환에 대한 심리반응을 이해하고 정신치료이론과 기술을 사용해 환자의 적응을 도울 수 있다. |
|
태도 |
6.12. 자문조정진료에서 환자를 존중하고 공감하는 정신의학 전문가적 태도를 유지할 수 있다. |
|
|
6.13. 내과적, 외과적 질환을 가진 환자 및 환자의 치료진과 협력적인 라포를 형성, 유지할 수 있다. |
7. 정신건강관리 |
지식 |
7.1. 삶의 질의 개념과 삶의 질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를 설명할 수 있다. |
|
|
7.2. 정신의학적 예방, 조기 발견, 조기 개입의 개념과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
|
7.3. 정신의학적 재활, 회복의 개념과 정신건강서비스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
|
7.4. 재활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정신건강서비스 자원과 복지제도를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7.5. 일반 인구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인식개선과 증진을 위한 교육 및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
|
|
7.6. 생애 주기별 정신건강 지원과 정신의학적 문제의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및 심층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
|
|
7.7. 중독 및 자살예방을 위한 정신의학 전문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
|
7.8. 만성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재활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
|
|
7.9. 만성정신질환의 장기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
|
7.10. 정신건강서비스 협의과정에서 환자의 지지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
|
7.11. 만성 정신질환의 재활과 회복을 위해 정신건강 서비스 자원 전체를 활용할 수 있다. |
|
태도 |
7.12. 정신의학 전문가로서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과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다. |
|
|
7.13.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신건강 관련 문제상황에서 전문가적 태도를 유지할 수 있다. |
|
|
7.14. 만성정신질환이 환자와 환자의 보호자에게 끼치는 영향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
|
7.15. 만성정신질환자와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고 지속할 수 있다. |
|
|
7.16. 1 차 의료서비스, 사회복지서비스와의 협력 및 공동작업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
8. 정신의학 관련 법률 |
지식 |
8.1. 정신건강 관련 법률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
|
8.2. 정신질환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기본원칙과 실행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
|
|
8.3. 격리 강박의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
|
술기 |
8.4. 임상상황에서 정신의학 관련 법률과 인권보호지침의 내용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 |
|
태도 |
8.5. 정신건강 관련 법률을 준수하고, 환자의 인권을 보호하는 정신의학 전문가로서의 태도를 유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