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생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Domestic Research of Medical Students Trends Analysis

Article information

Korean Med Educ Rev. 2018;20(2):91-10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8 June 30
doi : https://doi.org/10.17496/KMER.2018.20.2.91
Education Support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이애화,orcid_icon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지원센터
Corresponding author Aehwa Lee Education Support Center,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095 Dalgubeol-daero, Dalseo-gu, Daegu 42601, Korea Tel: +82-53-580-3702 Fax: +82-53-580-3717 E-mail: verysnow@naver.com
Received 2018 May 15; Revised 2018 June 21; Accepted 2018 June 24.

Trans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medical students’ major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y analyzing 184 academic articles pertai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ents from 2007 to 2017. Results showed many papers dealing with medical students'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student counsel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board, research trends were found mostly in the student and curriculum areas of learner characteristics, medical humanities, student counseling, clinical practice education, and curriculum management. Common research topic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standard in 2012. Medical students predominantly us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tudi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research topics such as CQI, digital- and performance-based clinical practice, and convergent curriculum with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e being studied. In addition,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learners’ unique, dynamic,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서 론

의학교육은 기본적인 의학지식을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 기술 등을 강조하는 학생역량과 학습성과를 강조하고 있다[1]. 이에 의과대학들은 대학의 교육철학과 이념, 목표 등을 반영한 학습성과를 개발하고 지속적인 질 관리를 통해 학습자, 교수자 및 대학운영 전반의 환류를 강조하고 있다[24]. 또한 의학교육은 의학지식 및 기술의 폭발적 증가와 실제 의료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무교육이 강조됨에 따라 기초의학, 임상체험학습, 학생인턴제, 인문사회과학의 통합교육 등 의학교육과정과 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있다[58]. 교육방법에 있어서도 교수자가 방대한 의학지식과 술기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전통적인 강의법을 넘어서 학습자 중심의 체험과 실습 등 자기주도적 활동을 강조하는 문제기반학습, 팀기반학습, 플립러닝 등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9]. 이와 함께 2009년부터 시행된 임상수행능력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실기시험이 도입됨에 따라 환자와 의사관계 및 의사소통능력이 요청되고 있고[10], 의과대학생의 비판적 사고기술, 논리력, 정보수집 및 분석력 등 학생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학습자 코칭, 멘토링활동 등의 학생상담 및 지원활동을 강조하고 있다[11,12].

최근 의학교육 동향을 주도하는 키워드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가 학습자중심교육이며, 이는 국내・외 의학교육을 포함한 대학교육의 핵심 동향이기도 하다[13,14]. 학습자중심교육은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어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학습하는 교육이며[15], 학습자의 참여와 활동 강조, 학습자의 자율성 및 책임 강화, 교수자와 학습자의 소통과 존중,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성찰 등을 그 특징으로 한다[16,17]. 이러한 학습자중심교육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의과대학에서의 학습자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학습평가체제를 구축 및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의과대학생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학습자의 언어능력, 컴퓨터활용능력, 학습성과에 대한 사전지식과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양식, 자아개념, 내・외적 동기, 귀인양식, 통제소재, 인지 및 초인지 전략 등을 파악하여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학습평가, 학생상담 및 행정지원의 효과성 및 적합성을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18,19]. 의과대학생에 대한 학습자 특성 분석을 시도한 국내 선행연 구의 예를 들면, 우선, 의학전문대학원생이 의과대학생들에 비해 심층적 학습접근, 학습 모니터링, 학습조직화,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를 분석한 Yune 등[20]의 연구가 있다. 또한 국내 의예과, 의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인지・학습적 측면, 정서・적응적 측면, 사회・도덕적 측면에서 분석한 Ryue와 Lee [21]의 연구도 있다. 아울러 의학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신세대 학생의 특징, 즉 디지털세대와 밀레니엄세대의 특징을 분석한 Kim [22]의 연구가 있다.

연구동향 분석은 주제 및 개념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의 특징적인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발전적인 연구방향과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연구, 개발연구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23]. 연구대상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현재까지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동향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의학교육 관련 연구동향은 3편 정도에 그치고 있다(Table 1). 구체적으로 Kim [24]은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국내・외 의학교육학회지(한국의학교육 103편, Academic Medicine 293편, Medical Teacher 325편)에 대한 전공별(교육공학,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평가, 교육행정 등)과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2000년대 초반의 관련 논문을 분석한 것임으로 최근까지 연구동향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Lee 등[25]은 한국의학교육학회지에서 1989년부터 2010년까지 게재된 논문 386편을 교육과정별(의예과, 본과, 전문대학원 등)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이 논문도 최근 의학교육의 주요 동향을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Yoo와 Shin [26]은 1991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의학교육에 게재된 학회논문에 대해 연구주제에 대한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논문 간 네트워크 관계를 심층 분석하였지만, 최근 수행된 연구주제 영역별 현황이나 연구방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데는 미흡하다.

Research trends in previous research

앞서 제시한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요구와 의료 및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의학교육 평가인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학교육 평가인증은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을 갖춘 의료인 양성을 목표로 의학교육의 질적인 발전과 의학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다[27]. 의학교육평가인증 기준별 특성을 살펴보면[27], 제1주기 평가인증(2000-2004년)은 의학교육의 표준화를 목적으로 의과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이 평가영역에 따라 최소한의 교육여건을 갖추는 것에 있었다. 제2주기 평가인증(2007-2011년)은 의료인문교육 강화와 교육과정 개선을 통한 통합교육을 강조하였고 post-2주기 평가인증(2012-2018년)은 성과바탕교육을 도입하고 지속적인 질 관리의 필요성을 요청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성과바탕교육의 의학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의료인문학과 의사소통을 포함한 전문직업성 등의 연구주제를 확인한 선행연구에서도 드러났다[26]. 앞으로 2019년부터 적용되는 ASK2019 평가인증(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은 의학교육의 국제적 수준으로의 도약과 지속적인 교육의 질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학교육의 주체인 의과대학생이 미래사회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고 세계적인 수준의 의학교육을 받으며 지속적인 의학교육의 질적 성장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향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탐색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의학교육 동향은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을 분석기준으로 의과대학생과 관련한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이 어떻게 접근되고 있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약 10년간 의과대학생 관련 국내 논문들에서 나타난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주제를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을 참조하여 분석하고, 이와 함께 의예과와 의과대학(의학과 및 의학전문대학원생 포함) 학생 특성 관련 연구주제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며, 아울러 이들 의과대학생 연구의 주요 연구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학습자중심교육, 교육성과 및 질 관리를 강조하는 의학교육을 보다 발전하는데 필요한 후속연구들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후보 및 등재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에서 제목, 주제어, 전체(내용 전반) 키워드 검색을 통해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총 184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과대학생,’ ‘의예과,’ ‘의대+학생,’ ‘의학과+학생’으로 검색한 결과 218편이 검색되었다. 둘째, 1차로 검색한 자료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중복된 연구물은 제거하여 208편으로 정리되었다. 셋째, 의과대학생과 관련된 연구물인지 검토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교수, 강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전공의, 간호학생, 의학전문대학원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본 연구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렇게 도출된 총 18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고(부록 1), 의과대학생에 관한 연구는 2007년 15편이었던 것이 2012년에는 19편으로 증가하였고, 이후 2016년 11편으로 감소하였지만 2017년에는 24편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Transition in number of articles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물로 그 특성을 의예과와 의과대학(의학과 및 의학전문대학원생 포함)으로 분류하였다. Table 3에 따르면 의예과 50편과 의과대학 103편이었으며, 연구대상을 제시하지 않은 논문도 31편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umber of articles according to medical courses

의과대학생 관련 논문을 게재하는 국내 주요 학술지는 한국의학교육(75편, 40.8%)과 의학교육논단(59편, 32.1%)에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고, 의료커뮤니케이션(4편, 2.2%),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3편, 1.6%), 한국의료법학학회지(3편, 1.6%), 대한의사협회지, 생명윤리 등에서 각 1편씩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Table 4).

Number of articles according to journals

본 연구에서 연구동향 분석기준은 Table 1에서 제시된 관련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도출하였다. 우선, 연구주제는 Table 5와 같이 의학 교육 평가인증기준(제2주기, post-2주기, ASK2019)을 참고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학습자중심교육, 교육성과 및 질 관리를 강조하는 의학교육을 보다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그간 표준화, 선진화 등에 초점을 맞추었던 의학교육이 국제적 수준의 의학교육으로 나아가는 현 시점에서 의과대학생 연구의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연구주제의 분석은 하나의 논문에 제시된 2개 이상의 주요 키워드를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특히 본 연구의 분석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연구 주제어들은 의학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범주별로 유목화를 시도하였다. 그 예로 4.2 학습자 특성 기준은 국내 의과대학생의 학습자 특성을 인지, 정서, 사회적 특성으로 고찰한 논문[21]을 토대로 분류기준을 수정 및 보완하여 분석하였다(Table 6). 다음으로 연구방법은 개발연구, 문헌연구, 실험연구, 조사연구, 질적 연구, 혼합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의예과와 의과대학(의학과 및 의학전문대학원생 포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Transition in research topic

Research trends i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결 과

1. 연구주제

의과대학생 관련 논문에서 의과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학습자 특성을 다룬 논문이 149편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학생상담(27편), 임상실습교육(22편), 교육과정관리(21편), 교육방법(17편), 학습평가(17편), 학생선발관리(16편), 임상술기시험(15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도별 추이를 보면, 전체적으로 매년 평균 약 17편이 수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2007년 31편이었던 것이 2011편까지 감소되었다가 2012년부터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였다. 연구주제별 추이를 보면, 학습자 특성, 교육과정관리, 교육방법, 학습평가 등은 매년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고, 학생상담은 2012년 이후, 임상실습교육은 2013년 이후, 학생선발관리는 2012년 이후, 성과바탕교육은 2013년 이후, 교육만족도는 2015년 이후 논문 수가 대폭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5).

2.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별 연구주제 동향

본 연구는 의학교육 평가인증을 분석기준으로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Table 6). 의과대학생 논문에 있어서 평가기준의 대영역별로는 학생영역과 교육과정영역에 해당되는 논문이 많았고, 본 연구에서 재분류한 소영역별 현황을 보면, 학습자 특성(4.2) 148편, 임상의학과 술기(2.5) 37편, 의료인문학(2.3) 28편, 교육과정(2.1) 21편, 학생상담과 지원(4.3) 19편 등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논문 수가 많은 학생영역 관련 논문현황을 보면, 성격유형, 불안, 스트레스, 소진 등 관련된 정서적 수준 관련 논문이 81편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학업동기, 학습양식, 학업성취도 등 인지적 수준 논문이 46편 등으로 나타났다.

3. 연구방법별 연구동향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설문지 활용을 통한 조사연구가 11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문헌연구 39편, 질적 연구 10편, 교육과정 개발 등 개발연구가 8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방법 연도별 추이를 보면, 조사연구와 문헌연구는 매년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질적 연구는 2007년과 2009년에 각 1편이었던 것이 2014년부터 매년 평균 2편 이상 연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Transition in research methods trends

4. 연구대상별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동향

연구대상별 연구주제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관리, 의료인문학교육, 교육만족도, 교육방법 등은 의예과 학생에 대한 논문이, 학습자 특성, 임상실습교육, 의료윤리, 임상술기시험, 성과바탕교육 등과 관련한 연구는 의학전문대학원생을 포함한 의학과 학생 연구에서 주로 나타났다(Table 8). 한편, 연구대상별 연구방법현황을 보면, 조사연구가 의예과와 의과대학에 가장 많았고, 의예과 학생 연구는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개발연구 6편, 교수학습방법 등 효과분석을 위한 실험연구 4편 등이 수행되었지만 의학전문대학원생을 포함한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Table 9).

Research topic trends according to research targets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research targets

고 찰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출판된 의과대학생 관련 논문 184편을 분석하여 의과대학생 관련 주요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등 연구동향을 탐색하였다. 아래에서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방향과 과제에 대하여 논의해보고자 한다.

첫째, 의과대학생 관련 연구는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학습자 특성을 다룬 논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지적 측면에서는 주로 학업성취도, 성취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등이 많았지만, 자기주도적 학습[28], 학습전략과 학습양식[29] 등 학습활동과 관련해서는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것들은 의과대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전략이나 교수학습방법의 효과성을 측정하는데 주요 변수라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교수학습방법 및 학업역량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정서적 측면에서는 성격유형, 스트레스, 학업소진, 우울, 완벽주의, 불안, 흡연이나 음주 등 부정적 정서와 관련된 변수가 많았지만, 감성지능, 행복, 자아탄력성 등 긍정정서 관련 변수들은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에 대한 정서지능, 행복, 회복탄력성 등 긍정정서 관련 연구가 요청된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 관련된 논문은 많았지만, 사회적 지 지나 교수와의 상호작용 관련 연구는 부족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의과대학에서는 학습자중심교육, 통합교육, 성과바탕교육 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과대학생의 학습성과를 무엇으로 보며, 어떠한 도구로 측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 척도[30]와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31] 연구가 있으나, 학습자중심수업 인식과 참여, 학습성과로서의 핵심역량이나 학업성취도, 교육만족도 등 의과대학생을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는 거의 찾을 수 없었다. 이와 함께 의과대학생 관련 학습성과에 대한 모니터링 및 질 관리방법이나 전략 등을 포함한 학습평가에 대한 연구도 부족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자중심교육의 규명, 학습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와 그에 대한 효과검증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의학교육의 패러다임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의료환경의 변화, 의료기술의 첨단화로 디지털 의료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임상실습 및 술기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의과대학생이 디지털 의료사회에서 필요한 컴퓨터활용능력, 디지털리터러시, 스마트리터러시, 데이터관리 및 분석능력 등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의 디지털 및 정보 리터러시 수준, 의료 관련 연구의 정보 및 데이터 관리와 분석능력을 측정하고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탐색 및 적용하는 연구들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의학교육에서 인문학 교육의 강화 추세는 의과대학생이 향후 직면할 의료사고나 환자에 대한 윤리문제 상황에서 요구되는 역량과 직결되어 있다. 이에 의학교육에서는 의과대학생에 대한 의료인문학이나 의학법규, 봉사활동 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은 의료인문학 관련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관련 논문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사회봉사, 환자와의 의사소통, 의료인문학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의료인문학 관련 학습평가체계 개발, 선택교과 활성화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의과대학생과 관련한 연구방법으로는 조사연구와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의과대학생의 학습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변인들이 복잡하고 다양해서 학습이나 대학생활에서 있어서 개별적, 역동적, 질적 속성을 지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를 통한 변수 간 관계나 효과 등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지닌 역동적이고 질적 속성을 심층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질적 연구와 혼합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의학교육 평가인증기준을 토대로 분석한 논문이며 의과대학생과 관련하여 연구주제와 연구방법 등의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선진 외국의 의학교육 관련 연구물들은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으로 국제 수준의 의학교육 학술논문을 추가하여 국내 연구동향과 비교분석함으로써 후속연구주제 및 방법을 도출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평가인증 주기별로 의학교육의 표준화, 성과바탕교육, 교육의 질 관리와 개선 등 의학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와 그와 관련된 연구주제와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의학교육이 국제적인 질적 수준을 보장할 수 있는 교육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교육의 품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포함한 의학교육 전반의 운영체계에 환류(feedback)할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품질개선(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의 교육체제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저자 기여

이애화: 자료수집, 원고작성, 참고문헌 작성, 전반적인 논문작성 활동 수행

References

1. Kim S, Park JH, Yoo NJ, Lee SJ. Development of an outcome-based medical curriculum: a case report from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Korean Med Educ Rev. 2013;15(1):39–45.
2. Park KH, Kim S, Rhee JA, Hur Y, Lee YH, Park JH. The perceptual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education and achievement levels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in medical schools. Korean J Med Educ. 2014;26(2):125–36.
3. Park JH.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of student assessment in medical education from an outcome-based education perspective. Korean Med Educ Rev. 2013;15(3):112–9.
4. Im SJ. Assessment in outcome-based education. Korean Med Educ Rev. 2013;15(1):25–30.
5. Kim SH, Yang EB, Ahn DS, Jeon WT, Lyu CJ. The present conditions of clinical clerkship management in Korea. Korean J Med Educ. 2009;21(4):373–83.
6. Hong SH. Application to the dilemma discussion program: ethics and character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Korean Med Educ Rev. 2009;11(2):3–14.
7. Park JY. Leg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 goal, future direction and approach method. Korean J Med Law. 2017;25(1):27–48.
8. Choi SH. The student internship experience. Korean Med Educ Rev. 2015;17(1):26–32.
9. Lee SH, Jeon WT, Yang EB. A peer tutoring program introduction and effects analysis in medical college. Korean Med Educ Rev. 2012;14(2):86–94.
10. Han HH, Kim S. Trends of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Korean J Med Educ. 2009;21(1):35–41.
11. Yune SJ. Park K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research process for enhancing humanities competence of medical students. J Korean Data Anal Soc. 2017;19(6):3275–86.
12. Park WK. Student research in basic medical education: why do we say student research? Korean Med Educ Rev. 2015;17(2):57–9.
13. So Y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erception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Asian J Educ. 2015;16(1):113–35.
14. Ross JG, Bruderle E. Effects of active, student-centered teaching strategies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comfort related to patient safety. Nurse Educ. 2018;43(1):2–3.
15. Kwon NW. Characteristics and theory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J Learn Cent Curric Instr. 2001;1(1):29–40.
16. Lea SJ, Stephenson D, Troy J. Higher education students' attitudes to student-centred learning: beyond ‘educational bulimia’? Stud High Educ. 2003;28(3):321–34.
17. Wright GB. Student-center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t J Teach Learn High Educ. 2011;23(1):92–7.
18. Kang EC. Introduction in educational method and educational technology Paju: Education & Science; 2011. p. 41.
19. Lee JK, Kim JY, Kim HJ. Learning counselling. Seoul: Hakjisa; 2013. p. 39.
20. Yune S. Lee S, Kang S, Jeong H. Differences of the students’ learning dispositions between students and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J Korean Educ. 2007;34(3):3–27.
21. Ryue SH, Lee HB. Korean medical students'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Korean J Med Educ. 2012;24(2):103–15.
22. Kim 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tudent generation and considerations for medical education. Korean Med Educ Rev. 2012;14(2):59–63.
23. Chang S, Koh EH, Park I. Tendency and task of educational methodology research. J Educ Methodol. 2013;25(3):603–21.
24. Kim S. Current trends in medical education by analysis of journals of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04;16(2):109–17.
25. Lee YH, Lee YM, Kwon H. Trends analysis on research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12;24(4):287–99.
26. Yoo HH, Shin S. Trends of research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by social network analysis. Korean J Med Educ. 2015;27(4):247–54.
27.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Internet]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cited 2018 Jun 16]. Available from: http://www.kimee.or.kr/medical-education/purpose.
28. Chae SJ. A study on self 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focused on the case of 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n Med Educ Rev. 2008;10(2):9–17.
29. Ahn S, Kim M, Ahn D.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nd learning styles of pre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2010;22(1):7–13.
30. Kim MJ, Park KH, Yoo HH, Park IB, Yim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dical student stress scale in Korea. Korean J Med Educ. 2014;26(3):197–208.
31. Namkung J, Kim JH. The developing and validation of communication ability scale. Korean Soc Creat Educ. 2010;10(1):85–109.

Appendices

부록 1. 본 연구의 연구동향 분석에 포함된 논문 목록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Research trends in previous research

Research source Analysis standards and contents Accreditation period
Kim [24] Year 2000-2003 1st accreditation period
Publi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Academic Medicine, Medical Teacher
Research topic Academic areas, keyword classifications
Lee et al. [25] Year 1989-2010 1st, 2nd accreditation period
Publi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topic Academic areas, keyword classifications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qualitative, mixed
Yoo and Shin [26] Year 1991-2015 1st, 2nd, post-2nd accreditation period
Publication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Research topic Keyword classifications based on period (1999-2005, 2006-2015)

Table 2.

Transition in number of articles

Year Total
2nd accreditation period Post-2nd accreditation period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No. of articles 15 15 15 12 11 19 17 21 24 11 24 184

Table 3.

Number of articles according to medical courses

Target group Pre-medical course Medical course & postgraduate medical course No target Total
No. of articles 50 103 31 184

Table 4.

Number of articles according to journals

Journal list No. of articles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75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59
Korean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4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3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Law 3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Psychiatry,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etc. 1

Table 5.

Transition in research topic

Topic 2nd accreditation period Post-2nd accreditation period Total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Learner characteristics 18 10 15 15 11 11 4 23 20 12 10 149
Student counselling 4 4 0 0 2 13 1 2 0 1 0 27
Clinical practice 0 1 2 0 2 0 6 4 6 0 1 22
Curriculum management 2 1 2 1 1 1 1 1 3 0 8 21
Teaching & learning methods 0 1 0 1 1 3 0 3 1 4 3 17
Learning evaluation 1 1 1 2 0 2 5 2 1 0 2 17
Student selection management 1 0 1 1 0 2 3 2 0 1 5 16
Clinical practice exam 1 1 3 1 4 0 0 2 2 0 1 15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1 1 2 1 0 3 0 0 2 2 1 13
Educational satisfaction 2 0 0 0 0 1 0 0 2 3 2 10
Medical ethics 1 2 1 0 0 0 1 0 0 2 2 9
Medical research 0 0 1 0 1 2 0 0 3 0 1 8
Performance-based education 0 0 0 0 0 0 5 1 0 1 0 7
Medical regulations 0 0 0 1 0 0 0 0 0 0 2 3
Volunteering 0 1 0 0 0 0 1 0 1 0 0 3
Basic medicine 0 1 0 0 0 0 0 0 0 1 0 2
Total 31 24 28 23 22 38 27 40 41 27 38 339

Table 6.

Research trends in medical education accreditation

2nd accreditation period Post-2nd accreditation period ASK 2019 a) Criteria Keywords Number
1. University administration system 1. University administration system 1. Miss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8. University administration system and administration
1.1 Mission and educational performance
Not found
Performance-based education, student competence, learning performance
Not found
-
2. Educational objectives and curriculum 2. Basic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2. Curriculum 2.1 Educational methods PBL, cyber lecture, e-learning, small group presentation, argumental enhancement training 21
2.2 Educational methods PBL, cyber lecture, e-learning, small group presentation, argumental enhancement training 17
2.2 Basic medicine Basic medicine 2
2.3 Medical humanities Humanities education, medical ethics, medical law, medical service activities,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leadership education 28
2.5 Clinical practice, practice exam Pre-clinical training, student internship, patient safety training, CPX, OSCE 37
3. Student assessment 3.1 Evaluation methods & feedback Class evaluation, class feedback, self-reflection, portfolio, criteria-reference evaluation 17
7. Educational evaluation
3. Student 3. Student 4. Student 4.1 Admission policy and selection Interpersonal interview, entrance examination, absenteeism 16
4.2 Learner characteristics Cognitive: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yle,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46
Emotional: personality type, anxiety, stress, burnout, quality of sleep 81
Social: morality, collective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tudent culture, social support 21
4.3 Student counseling and support Tutoring, mentoring, learning coaching, major selection, occupation, career guidance 19
4. Professor 4. Professor 5. Professor Not analyzed Not found -
5. Facilities 5. Facilities 6. Educational resources 6.1 Medical research Research trends, research ethics, student research 8
6. Graduate medical education 6. Graduate medical education 7. Educational evaluation 7.1 Performance ability of students and graduates Medical profession education, choosing a major, career path, career guidance 18
Not found Not found 9. Continuous improvement Not found Not found -

PBL, problem-based learning; CPX,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OSCE,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a)

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

Table 7.

Transition in research methods trends

Method 2nd accreditation period Post-2nd accreditation period Total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Development research 0 0 0 0 0 0 1 0 2 0 5 8
Literature research 1 2 4 2 2 6 9 2 6 0 5 39
Experimental research 0 1 0 0 0 0 1 0 0 1 1 4
Survey research 12 12 10 8 9 13 6 18 13 9 7 117
Qualitative research 1 0 1 0 0 0 0 1 3 1 3 10
Mixed research 1 0 0 2 0 0 0 0 0 0 3 6
Total 15 15 15 12 11 19 17 21 24 11 24 184

Table 8.

Research topic trends according to research targets

Categories Pre-medical course Medical course & postgraduate medical course No target Total
Learner characteristics 29 120 0 149
Student counselling 9 15 3 27
Clinical practice 1 13 8 22
Curriculum management 11 5 5 21
Teaching & learning methods 10 7 0 17
Learning evaluation 6 6 5 17
Student selection management 7 8 1 16
Clinical practice exam 0 15 0 15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6 2 5 13
Educational satisfaction 7 3 0 10
Medical ethics 0 7 2 9
Medical research 2 3 3 8
Performance-based education 1 3 3 7
Medical regulations 0 1 2 3
Volunteering 2 1 0 3
Basic medicine 1 1 0 2
Total 92 210 37 339

Table 9.

Research methods according to research targets

Categories Development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Survey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Total
Pre-medical course 6 5 4 29 4 2 50
Medical course & postgraduate medical course 2 5 0 87 5 4 103
No target 0 29 0 1 1 0 31
Total 8 39 4 117 10 6 184
주 연구자명 (출판연도) 논문 제목 학회지명(권,호)
김순근 (2017) 과학영재, 나는 왜 의대에 진학하였나? 영재와 영재교육(16,2)
손강숙 (2017) 의과대학생의 학업소진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7,10)
유효현 (2017) 의과대학생들의 생명 개념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의학교육논단 (19,1)
주미선 (2017) 녹화영상 활용 학습법이 학생들의 ‘환자의사관계’에서의 자기성찰에 미치는 영향 의학교육논단 (19,2)
주현정 (2017) 논증강화교육이 의학과 학생의 문제바탕학습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의학교육논단 (19,2)
김도환 (2017) 의과대학 선택교육과정의 운영절차와 만족도 평가 의학교육논단 (19,2)
유동미 (2017)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 및 편성 사례 의학교육논단 (19,3)
윤현배 (201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人f례 의학교육논단 (19,3)
김성용 (2017)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사례 의학교육논단 (19,3)
정한나 (2017)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 의학교육논단 (19,3)
윤유상 (2017)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人f례 의학교육논단 (19,3)
정은경 (2017)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사례 의학교육논단 (19,3)
예병일 (2017) 한국의 의예과 교육: 무엇이 문제이고 무엇이 해법인가? 의학교육논단 (19,3)
윤소정 (2017) 의과대학 학생들의 인문학적 역량 강화를 위한 연구과정 개발 및 타당성 평가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6)
이영주 (2017) 의과대학 수업수준에서의 준거설정 사례 연구 교육문화연구 (23,2)
노옥준 (2017) 일개 의과대학생의 재학 시기에 따른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생물 치료 정신의학 (23,3)
박지용 (2017) 의과대학에서의 의료법 교육: 목표, 실천방향 및 접근방법 한국의료법 학회지(25,1)
배현아 (2017) 의학을 전공하는 학생의 의료행위의 법적 문제 한국의료법 학회지(25,2)
박장희 (2017) 의과대학 학생들의 입학전형별 GPA, 유급, 의사면허시험합격률 비교 교육평가연구 (30,2)
이근미 (2017) 단일 의과대학에서 학생 선발 전형 요소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34,1)
김혜인 (2017) 의과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사회심리학적 요인들과의 관계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34,1)
김장한 (2017) 의과대학에서의 의료윤리 교육 대한의사협회지 (60,1)
윤소정 (2017) 의예과 학생들의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표집 및 질적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10)
윤소정 (2017) 의예과 학생들의 학제간 융합연구 고ᅡ정 참여 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7,2)
양은석 (2016) 스포츠 조정수업이 의과대학 신입생들의 학교생활 적응과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 체육학회지 (64)
최손환 (2016) 의과대학 통합교과 내 PBL과 단위교과 PBL이 학생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6,2)
이선영 (2016) A지역 의과대학생의 문화성향, 도덕성,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 의학교육논단 (18,1)
김도환 (2016) 가상 시나리오를 활용한 의과대학 학사 편입학 지원자의 윤리적 의사결정능력 의학교육논단 (18,2)
유동미 (2016) 의예과 학생들의 리더십 교육 후 자기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변화 의학교육논단 (18,2)
박혜진 (2016) 임상실습 중 의과대학생의 기초의학 관련 요구도 조사: ‘기본의학교육 학습성고ᅡ: 과학적 개념과 원리중심’ 의학교육논단 (18,2)
김민정 (2016) 중동호흡기증후군 관련 교육과 의과대학생의 개인 위생 실천도 의학교육논단 (18,2)
전수경 (2016) 의과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의학교육논단 (18,3)
최손환 (2016) 의과대학생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요건 탐색 의학교육논단 (18,3)
시지현 (2016) 의과대학 문제기반학습에서 튜터 수행 및 집단 효능감이 학업성취와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여 St 교육방법연구 (28,1)
유지혜 (2016) 일개 의과대학생의 완벽주의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한국보건 정보통계학회지 (41,1)
채수진 (2015) 의과대학 PBL 수업에서 의사소통불안 수준이 학생평가 결과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료 커뮤니케이션 (10,1)
전민영 (2015) 의예과 학생들의 의사소통술 교육방법 의료 커뮤니케이션 (10,1)
김민정 (2015) 의과대학생들의 영적안녕이 사회적 니코틴 의존성, 음주, 인터넷 사용 및 도박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5,4)
박종훈 (2015) 의과대학 학생 실습병원이 갖추어야 할 요건과 인증기준 의학교육논단 (17,1)
임기영 (2015) 의과대학 학생 임상실습병원의 현황과 발전 의학교육논단 (17,1)
김영창 (2015) 의과대학 학생 임상실습을 위한 교육병원의 역할 제고 방안 의학교육논단 (17,1)
최손환 (2015) 의과대학 학생인턴제의 운영 일례 연구 의학교육논단 (17,1)
김인숙 (2015) 의과대학 연구력 향상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연구 활성화 요인 의학교육논단 (17,2)
박원균 (2015) 의학교육기관의 학생연구: 왜 우리는 학생연구를 말하는가? 의학교육논단 (17,2)
유효현 (2015) 의과대학의 잠재적 교육과정과 학생문화 의학교육논단 (17,3)
김평만 (2015)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에서 사회봉사체험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의학교육논단 (17,3)
최손환 (2015) 임상실습 내실화를 위한 일례 연구: 학생 경험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17,3)
김남철 (2015) 일반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비교 정신신체의학 (23,1)
이수현 (2015) 의과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 소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7,1)
채수진 (2015) 의과대학 학생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과 학습목표 달성도 분석 한국의학교육 (27,2)
박귀화 (2015) 한국 의과대학생들의 의학교육환경에 대한 인식 한국의학교육 (27,2)
한태희 (2015) 의과대학 인문학 교육: 환원과 통합 사이에서 한국의학교육 (27,3)
유효현 (2015) 의과대학생의 정서지능, 자아탄력성, 대처효능감과 학업스트레스 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7,3)
최재원 (2015) 우리나라 일부 의과대학생의 번아웃 유병률과 관련 요인 한국의학교육 (27,4)
박계영 (2015) 으ᅵ과대학 4학년 학생의 임상진료시험(Clinical Practice Examination) 진단고사 성적 예측요인분석 한국의학교육 (27,4)
노혜린 (2015) 의과대학생을 우|한 진료수행과 기본임상술기 지침 개발 한국의학교육 (27,4)
전민영 (2015) 의과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환자의사 관계에 대한 영향 한국의학교육 (27,4)
황진영 (2015) 의예과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한국의학교육 (27,4)
채수진 (2015) 의과대학에서 학생 포트폴리오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혁신저항 요인 탐색 미래교육학연구 (28,1)
김상훈 (2014) 의과대학생들의 우울 증상: 유병율, 관련요인 및 긍정심리의 조절효과 우울조울병 (12)
박은아 (2014)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들의 차이: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 조절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16,1)
정은경 (2014) 의과대학 학생의 소진에 대한 지도사례 분석 의학교육논단 (16,2)
천경희 (2014)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업소진 양상과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 의학교육논단 (16,2)
최손환 (2014) 학생인턴 참여 학생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의학교육논단 (16,2)
정지훈 (2014) 의과대학생이 만날 미래, 어떻게 준비할 것인가? 의학교육논단 (16,3)
임지영 (2014) 일주기성 유형이 의과대학생의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중독정신의학 (18,2)
김보미 (2014) 의과대학 학생들의 우울감 빈도와 관련 요인 한국의학교육 (26,1)
유선미 (2014) 의과대학생들의 소그룹 발표에 대한 동료평가의 의의 한국의학교육 (26,1)
허예라 (2014) 의과대학생들의 자아상 태와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6,1)
허예라 (2014) CPX 도입에 따른 의과대학생들의 환자중심적 태도 변화 한국의학교육 (26,2)
김도환 (2014) 다면인적성면접에 따라 선발된 의예과 학생은 어떻게 다른가? 한국의학교육 (26,2)
박귀화 (2014) 의과대학 교수와 학생이 인식한 학습성과에 대한 교육수준과 도달수준의 차이 한국의학교육 (26,2)
김민정 (2014) 의과대학생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의학교육 (26,3)
허예라 (2014) 의과대학생들의 공감 표현 능력은 어떠한가? 한국의학교육 (26,3)
김종엽 (2014) 의과대학생은 어떠한 수업 피드백을 받고 싶어 하는가? 한국의학교육 (26,3)
안혜진 (2014) 의과대학의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의학교육 (26,3)
방재범 (2014) 웹기반과 고충실도 시물레이선에서 의과대학생들의 팀 역할 수행과 임상수행능력 비교 한국의학교육 (26,4)
천경희 (2014)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생의 학업소진과 선택-최적화 -보상 전략 한국의학교육 (26,4)
박귀화 (2014) 의과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선호 전공 분야에 따른 직업 가치 인식의 차이 한국의학교육 (26,4)
강정호 (2014) 임상수행평가의 환자의사관계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자가 평가와 표준화 환자의 평가 비교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4,2)
김선 (2013) 성과중심교육과정 개발 사례 의학교육논단 (15,1)
임선주 (2013) 성과중심교육에서 학생평가 의학교육논단 (15,1)
이종태 (2013) 인제대학교 의과대학의 성과바탕교육과정 개발실례 및 결과 소개 의학교육논단 (15,1)
윤태영 (2013) 의과대학 임상실습의 변호ᅡ: 학생인턴제도의 가능성에 대한 전망 의학교육논단 (15,2)
박장희 (2013) 성과중심교육 측면에서 우리나라 의과대학 학생평가의 현실과 과제 의학교육논단 (15,3)
이상엽 (2013) 의과대학 임상실습에서의 학생평가방법: 과거, 현재 및 제언 의학교육논단 (15,3)
민경석 (2013) 의학교육 학생평가의 객관성에 대한 쟁점 의학교육논단 (15,3)
이승희 (2013) 의예과 신입생들의 성인학습자적 특성에 대한 입학전형별 인식 차이 분석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6,1)
김현주 (2013) 의과대학생의 실습할 권리와 환자의 개인 보호 한국의료법 학회지(21,2)
허예라 (2013) 우리에게는 어떠한 멘토링이 필요한가? 의과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연구동향고찰 한국의학교육 (25,1)
나백주 (2013) 의과대학 신입생의 동기향상을 우|한 의료봉사활동 프로그램 시행 경험 한국의학교육 (25,3)
권효진 (2013) 의과대학생의 학습윤리의식 검사 도구 개발 한국의학교육 (25,3)
박일환 (2013) 의예과 학생들의 지역사회중심 일차의료 실천 경험 한국의학교육 (25,3)
김세훈 (2013) 일개 대학 의과대학생의 입학전형별 학업성과는 어떠한가? 한국의학교육 (25,3)
김상현 (2013) 자기소개서와 교수추천서에 으|한 일개 의과대학 응시자 특성 분석 한국의학교육 (25,3)
허예래(2013) 의과대학 학생들의 성격유형과 대인관계욕구 특성 한국의학교육 (25,4)
황진영 (2013) 일개 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고찰 한국의학교육 (25,4)
김인향 (2012) 기질 및 성격 특성이 의과대학 학생의 관심 전공 선택에 미치는 영향 생물정신의학(19)
백은혜 (2012) 보건대학생과 의과대학생 간의 개인건강기록(PHR) 인식 비교 디지털 융복합연구 (10,10)
채수진 (2012)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환자/의사/사회 고ᅡ정을 통한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경험 의학교육논단 (14,1)
안신기 (201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전문직업성 교육 경험의 반성적 고찰 의학교육논단 (14,1)
김지영 (2012) 의과대학 소그룹 지도 프로그램 운영의 사례연구: SNU 학습멘토링, 피어튜터링, 학습코칭, 의학연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14,2)
박재현 (2012)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신념 의학교육논단 (14,2)
천경희 (2012)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따른 직업관, 진로선택, 전공 미결정요인 비교 의학교육논단 (14,2)
김은경 (2012) 의학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신세대 학생의 특징 의학교육논단 (14,2)
이수현 (2012) 일개 의과대학 피어튜터링 프로그램 소개 및 효과분석 의학교육논단 (14,2)
천경희 (2012) 의과대학 이러닝 교수,학습 환경의 필요성 분석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18,1)
이금호 (2012) 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의학교육 (24,1)
나백주 (2012)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신입생을 위한 동기유발 교육과정 개발과 시행 경험 한국의학교육 (24,2)
류숙희 (2012) 국내 의학과, 의학전문대학원, 의예과 학생들의 인지 ᅵ 정서 ᅵ 사회적 특성 고찰 한국의학교육 (24,2)
한의령 (2012)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유급 또는 휴학 경험 정도와 관련 요인 한국의학교육 (24,3)
박주현 (2012) 의과대학에서 학습관리시스템과 컴퓨터 기반 평가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경험 한국의학교육 (24,3)
반재유 (2012) 의예과 인문학 교육에서 “치유하는 글쓰기”의 적용 예 한국의학교육 (24,3)
박일환 (2012) 전자모듈을 이용해 구축한 의료커뮤니케이션 수업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인식도 및 만족도 한국의학교육 (24,3)
허예래(2012) 의과대학생의 직업흥미 유형과 학생 진로지도 프로그램에서의 활용 한국의학교육 (24,4)
천경희 (2012) 의과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완벽주의가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50,4)
이재선 (2011) 의과대학 전문영어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인문과학연구 (29)
강명희 (2011)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전문분야와 교수경험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의학교육논단 (13,2)
이창위(2011) 의과대학 여학생 증가에 따른 수련교육 변화의 필요성 의학교육논단 (13,2)
임은비 (2011) 의과대학생의 행복과 의학교육의 고[제 의학교육논단 (13,2)
임은정 (2011)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임상실습 수업평가 현황 분석 한국의학교육 (23,2)
하예라 (2011) 의학과 학생들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스트레스와 발달 수준 분석 한국의학교육 (23,3)
전경애 (2011) 일개 의과대학에서 첫 임상실기시험(Clinical Skill Examinational 대한 수험생 경험분석 한국의학교육 (23,3)
김진희 (2011) 의과대학생들의 정신건강 및 이들의 자존감 유지전략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3,4)
황지영 (2011) 의학과 학생들에서 임상실기 점수와 관련된 의학지식 지필시험 내용 한국의학교육 (23,4)
천경희 (2011)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이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직업 교육 연구(30,4)
천경희 (2011) 의과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교육학연구 (49,3)
남궁정 (2010)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창의력교육연구 (10,1)
노혜린 (2010) 의과대학에서의 입학면접 의학교육논단 (12,2)
안서원 (2010) 의예과 학생들의 인지양식과 학습양식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2,1)
조아라 (2010) 이동전화조사 시스템(Mobile Phone Survey System)을 활용한 실시간 수업평가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인식 한국의학교육 (22,1)
양은배 (2010) 의과대학생의 나의식-우리 의식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련성 한국의학교육 (22,2)
신홍임 (2010)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 관계 한국의학교육 (22,3)
견영기 (2010) 일개 의과대학생에서 완벽주의 성향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2,3)
이영홰(2010) 의과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표준화 환자의 서술형 평가내용 분석 한국의학교육 (22,4)
장선영 (2010) 의과대학 문제중심학습에서 성찰 유형 및 문제중심학습 경험수준에 따른 성찰의 수준 분석 교육공학연구 (26,1)
김현애 (2010) 일부 의과대학생들의 사망진단서 작성의 정확성 평가: 사망진단서 작성법 교육 유형에 따른 비교 농촌의학ᅵ지역보건 (35,1)
구민성 (2010)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 교과목 통합교육과정 비교 통합교육과 정연구 (4,1)
천경희 (2010) 의과대학에서의 교육풍토, 자기주도 학습, 그리고 창의적 사고에 대한 고찰 타 대학 유사전공 학생들과의 비교를 기반으로 사고개발 (6,1)
이성민 (2009) 의과대학생의 피로 호소와 식생활 습관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30)
류숙희 (2009) 기본의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 연세의대 광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의학교육논단 (11,2)
홍성훈 (2009) 의과대학 윤리&인성 교육을 위한 딜레마 토론의 활용 의학교육논단 (11,2)
류석환 (2009) 의과대학 학생의 수면과 삶의 질 생물 치료 정신의학 (15,1)
윤소정 (2009) 의과대학생들의 자아 상태 및 삶의 자세와 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6,7)
한홍희 (2009) 의과대학생의 의사소통기술 교육 경향 한국의학교육 (21,1)
정기훈 (2009) 일개 의과대학 본과 4학년 시험과 의사국가시험과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1,1)
김양희 (2009) 진료실습전 훈련 방법과 기간에 따른 의학과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한국의학교육 (21,1)
정은경 (2009)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학습양식 비교 한국의학교육 (21,2)
이병국 (2009) 의과대학생 및 의학전문대학원생의 공감 능력과 학제, 학년 그리고 성격의 연관성 한국의학교육 (21,2)
박종 (2009) 의과대학생의 유급 발생 예측요인 분석: 일개 의과대학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의학교육 (21,2)
박귀화 (2009) 일개 의과대학생들의 임상수행평가(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에 영향을 미치는변인들 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1,3)
김상현 (2009) 한국의 의과대학 및 의학전문대학원에서의 임상실습 교육과정 운영과 관리 한국의학교육 (21,4)
박일환 (2009)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구성 의료 커뮤니케이션 (4,1)
박용익 (2009) 의과대학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과정의 문제점 의료 커뮤니케이션 (4,1)
김수연 (2008) 의예과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봉사학습의 교육적 효과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9)
류숙희 (2008) 국내외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기초조사 및 분석 의학교육논단 (10,1)
오승민 (2008) 의과대학생의 멘토링 프로그램 필요 요구 및 흐|망 진로와의 연관성 의학교육논단 (10,2)
채수진 (2008) 의과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성향 연구: A의대 사례 의학교육논단 (10,2)
오승민 (2008) 일개 의과대학생의 말기 환자 치료 결정에 대한 태도 한국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재11,3)
소연희 (2008)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지향성과 자기효능감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추I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0,1)
허예라 (2008) 의과대학생들의 의학 전문직업성에 대한 자기평가 한국의학교육 (20,1)
박일환 (2008) 임상술기 수행능력에 대한 의과대학생들의 자가 평가와 객관구조화 진료시험 (OSCE1 결과의 비교 한국의학교육 (20,1)
채수진 (2008) 수업평가에 대한 교수와 학생 인식 비교 -일개 의과대학 사려卜 한국의학교육 (20,2)
안정희 (2008) 우리나라 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의 인문사회의학 교과목 운영현황 및 학습내용 분석 한국의학교육 (20,2)
전수현 (2008)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해부학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20,3)
허예라 (2008) 의과대학생의 의학 전문직업성 수준에 대한 학생과 교수의 인식 차이 한국의학교육 (20,3)
이영희 (2008) 의예과 학생의 성격특성과 의사소통 능력 및 수업태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20,3)
박정현 (2008) 의과대학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조직학 및 신경해부학 가상강의 (cyber lecture)의 적용 및 효과분석 대한체질인류학회지 (21,3)
권혜미 (2008) Defining issues test (DIT1 를 이용한 의과대학 학생들의 학년별 도덕 판단력의 발달 정도: 인제 의대생을 대상으로 생명윤리 (9,2)
맹광호 (2007) 우리나라 의과대학에서의 인문사회 의학교육: 과제와 전망 한국의학교육 (19,1)
안도희 (2007) 의과대학생들의 학업동기, 학업스트레스 및 학업성적에 대한 지각 간의 관계 한국의학교육 (19,1)
김은경 (2007) 의과대학 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대인관계 문제 특성 한국의학교육 (19,2)
김민강 (2007)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진로선택동기 및 도덕판단력 비교 한국의학교육 (19,2)
박혜숙 (2007) 의료환경과 학제변화에 따른 이화의대 교육목표 개정과정 한국의학교육 (19,2)
박원일 (2007) 출신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의과대학생의 교과목별 학업성취도 한국의학교육 (19,2)
고진경 (2007)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의과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학교육 (19,3)
이창인 (2007)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학생들의 중증 스트레스 유병률과 관련요인 한국의학교육 (19,3)
강신영 (2007) 부산의대의 OSCE 시행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한국의학교육 (19,4)
윤소정 (2007) 의과대학생과 의학전문대학원생 간의 학습성향 차이 한국교육 (34,3)
채수진 (2007) 의과대학 수업평가의 서술형 응답 분석에 의한 수업평가 내용 탐색 열린교육연구 (5,1)
전우택 (2007) 의과대학 학습 부적응자들에 대한 이해와 문제제기 의학교육논단 (9,1)
전우택 (2007) 선택과목 ‘의료와 여성(Women in Medicine)’에 대한 학생반응 분석 의학교육논단 (9,2)
김상현 (2007) 의과대학생들의 진로선택과 진로지도 의학교육논단 (9,2)
신홍임 (2007) 의과대학생의 성격유형과 전공 및 대학생활 만족도 의학교육논단 (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