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호트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하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유행 초기 때 감염병의 전파를 막기 위한 코호트 격리로 인해 ‘코호트’라는 용어가 좀 더 대중화되었다.
최근 의학교육에 있어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Accreditation Standards for KIMEE 2019, ASK2019)에서 학생과 졸업생의 수행능력을 분석하기 위한 코호트 관리체계와 학생과 졸업생 코호트 분석을 요구함에 따라 코호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1]. 우리나라의 많은 의과대학에서 코호트 구축과 운영은 이제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으나, 의과대학은 교육성과를 모니터링할 사회적 책무가 있고, 학생 및 졸업생 코호트를 통해 학생, 학교, 기타 특성에 따라 단기간 또는 장기간 성과를 평가할 수 있고 결과의 원인을 논리적으로 규명하고 검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특집호에서는 의학교육에서 학생과 졸업생 코호트의 의미와 필요성, 그리고 학생과 졸업생 코호트가 의학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일부 대학의 코호트 구축과 운영의 사례를 소개하여 각 의과대학에서 코호트 구축과 운영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첫 번째 논문은 의학교육의 코호트 구축을 위한 종단 데이터베이스(longitudinal database)의 구축과 운영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하고 기술적, 행정적, 윤리적 고려사항을 검토한다. 또한 미국, 영국, 호주와 뉴질랜드의 종단 데이터베이스 구축 사례를 소개하며, 의학교육에서 종단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코호트 연구 설계방법과 주요 연구주제별 선행연구 사례를 정리하여 제시하므로 의학교육에서 코호트 자료 분석과 연구에 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겠다.